•  

지하철역 스토리/부산43

[부산] 1호선 부산진역 역명 유래 부산진의 명칭은 임진왜란 당시 부산포구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부산진성에서 유래. (출처: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오래된 이야기가 있는 곳, 문화공감수정 그리고 초량1941 (출처: VISIT BUSAN) 부산이 간직한 근현대 역사, 동구는 그 씨앗이 퍼져 이야기꽃을 피운 동네다. 그 이야기를 담고 있는 길을 따라가다 보면 ‘문화공감 수정’을 만날 수 있다. 비짓부산 부산 공식 관광 홈페이지, 부산여행, 부산광광, 부산여행의 모든 정보 www.visitbusan.net 역사 상세정보 나무위키 부산진역 ▶ 지하철종결자 지하철 앱의 종결자! Smart Subway 새로운 차원의 지하철 어플리케이션 안드로이드 앱 설치 ▶ 아이폰 앱 설치 ▶ 2021. 11. 15.
[부산] 1호선 장림역 역명 유래 지명은 숲이 우거지고 지형적으로 길게 늘어선 동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안장림 · 바깥 장림 · 보덕보(부득포 또는 비득포)의 3개 마을로 구분된다. 바깥 장림은 농업을 안장림은 어업을 주업으로 하여 생활하고 있었으며, 지금은 주택지구로 바뀌었다. 보덕포는 안장림 서남쪽 바닷가에 있던 마을로서 보득포 · 부득포 · 버득포라고도 하였다. 1983년에 서구에서 사하구 관할로 바뀌었고, 같은 해 장림 1 · 2동으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른다. (출처: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알록달록 포토존 가득한 부네치아 장림포구 (출처: VISIT BUSAN) 해운대, 광안리 등 동부산에 비해 조명 받지 못하던 서부산이 최근 많이 사랑받고 있다. 부네치아그램 등 SNS를 통해 알려지기 시작한 장림포구는 부산의 베.. 2021. 11. 15.
[부산] 김해경전철 괘법르네시떼역 봄, 여름, 가을, 겨울이 다 달라 삼락생태공원 (출처: VISIT BUSAN) 유유히 흘러가는 낙동강 줄기 옆으로 삼락동 둔치에 넓게 자리 잡은 삼락생태공원. 넓이만 472만 2000㎡에 이르는 공원은 계절마다 각기 다른 매력을 뽐내며 방문객의 사랑을 받고 있다. 비짓부산 부산 공식 관광 홈페이지, 부산여행, 부산광광, 부산여행의 모든 정보 www.visitbusan.net 역사 상세정보 나무위키 괘법르네시떼역 ▶ 지하철종결자 지하철 앱의 종결자! Smart Subway 새로운 차원의 지하철 어플리케이션 안드로이드 앱 설치 ▶ 아이폰 앱 설치 ▶ 2021. 11. 15.
[부산] 2호선 광안역 역명 유래 해안과 모래벌을 가진 곳으로 넓은 해안이란 뜻의 廣岸이라 이름 짓는 것이 옳으나 풍수상 광안이라 하였음. (출처: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 광안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아름답다 (출처: VISIT BUSAN) 광안대교라는 랜드마크와 함께 부산을 대표하는 해수욕장 중 하나로 꼽히는 광안리 해수욕장. 도심과 가장 가까운 해변이자 부산 젊은이들의 성지라 할 수 있다. 비짓부산 부산 공식 관광 홈페이지, 부산여행, 부산광광, 부산여행의 모든 정보 www.visitbusan.net 역사 상세정보 나무위키 광안역 ▶ 지하철종결자 지하철 앱의 종결자! Smart Subway 새로운 차원의 지하철 어플리케이션 안드로이드 앱 설치 ▶ 아이폰 앱 설치 ▶ 2021. 11. 15.
[부산] 1호선 토성역 역명 유래 토성동(土城洞)이란 동명은 이곳에 토성이 있었다는 데서 붙여진 것이다. 이 토성은 아미동 구 화장장 부근을 중심으로 아미돌 아래쪽에 반월형으로 축조된 성으로서 현 토성중학교 부근을 통과하며, 성내 면적이 3∼4천 평 되는 반월성이다. 성의 높이는 4∼5척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런데 성의 모양이 반월형이라는 사실이 주목된다. 이 성은 1906년 일본거류민단에 의해 설립된 부산고등 여학교(현 부산여고 전신)를 현 토성중학교 자리에 신축할 때부터 파괴되기 시작하여 토성초등학교 건물을 비롯한 건물이 차례로 들어서서 현재는 거의 흔적을 찾기 어렵지만, 단편적으로 토성지임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 아미동 중턱에 올라서서 이 부근지대를 관찰하면 토성이 둘렸던 높은 지대를 헤아릴 수 있다. 대마.. 2021. 11. 15.
[부산] 2호선 대연역 역명 유래 황령산의 북서는 준험하고 동남은 밋밋한 연봉이 10여개 남으로 뻗어내려 수많은 浦와 池를 이름, 특히 이 일대에 큰 연못이 있어서 한자표기로 大淵이라 함. (출처: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턴 투워드 부산(Turn Toward Busan) (출처: VISIT BUSAN) 매년 11월 11일 11시가 되면 부산에서1분간 사이렌이 울립니다. 6.25참전 유엔전사자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는 순간, 『턴 투워드 부산(Turn Toward Busan)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식』 행사가 열리기 때문입니다. 비짓부산 부산 공식 관광 홈페이지, 부산여행, 부산광광, 부산여행의 모든 정보 www.visitbusan.net 역사 상세정보 나무위키 대연역 ▶ 지하철종결자 지하철 앱의 종결자! Smart Subway .. 2021. 11. 15.
[부산] 2호선 덕포역 역명 유래 덕포의 옛이름이 덕개였으며 덕개의 위치는 낙동강을 향하여 길게 뻗어 나온 긴 동산이 있는데, 여기에는 상강선대, 하강선대가 있고 이 강선대의 중간 도로변에 있는 바위언덕이 그것이다. 이 언덕이 동리의 포구였고 여기에서 동리명인 덕포동이 된 것임. (출처: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슬기로운 부산도서관 생활 (출처: VISIT BUSAN) 존재 자체만으로도 가보고 싶은 이유가 되는 부산도서관이 지난 11월 문을 열었습니다. 개관을 오랫동안 기다려온 시민들의 일상에도 행복한 변화가 찾아왔습니다. 비짓부산 부산 공식 관광 홈페이지, 부산여행, 부산광광, 부산여행의 모든 정보 www.visitbusan.net 역사 상세정보 나무위키 덕포역 ▶ 지하철종결자 지하철 앱의 종결자! Smart Subway 새로.. 2021. 11. 15.
[부산] 4호선 반여농산물시장역 역명 유래 ○지형이 소반처럼 동그랗다는 뜻에서 유래 ○조선시대 동래군 동상면 지역, ○1896년 부산부 편입, 1914년 동래군 동래면 반여리 1942년 부산부 재편입, 1957년 동래구, 1980년 해운대구 관할 (행정동 반여1~4동으로 구성) (출처: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드넓은 초록 물결 해운대수목원 (출처: VISIT BUSAN) 형형색색 야생화가 어여쁜 자태를 뽐내고 산책로를 가득 채운 상큼한 허브향이 나를 따라오는 곳. 초록의 싱그러움 가득한 해운대수목원으로 간다. 비짓부산 부산 공식 관광 홈페이지, 부산여행, 부산광광, 부산여행의 모든 정보 www.visitbusan.net 역사 상세정보 나무위키 반영농산물시장역 ▶ 지하철종결자 지하철 앱의 종결자! Smart Subway 새로운 차원의 지.. 2021. 11. 15.
[부산] 1호선 초량역 역명 유래 초량동(草梁洞)의 유래는 1678년 초량소산(草梁小山)인 지금의 용두산 주위에 왜관이 설치되기 이전, 지금의 부평동에 어민들이 얼마간 살았을 뿐 초량 이남은 사람이 살지 않은 억새풀과 띠풀의 초원지대로「샛디」라하여 초량이었다. 지금의 중구· 동구·서구지역도 마찬가지로 모두가 초원지대였다. 이 초원지대인 풀언덕을 초량이라 했는데 그 초량이란 이름이 맨 먼저 쓰인 곳은 그때의 사천면(沙川面)인 지금의 서구 일대였다. 그뒤 지금의 초량을 신초량이라 하게 되었다. 그러자니 동래부사 정현덕은 같은 고을에 같은 이름이 둘 있을 수 없다하여 신초량을 초량이라 하고, 구초량을 부민동이라 하게 했다고 한다. 그때의 부민동은 지금의 부민동에서 남부민동까지를 말했고 신초량인 초량은 지금의 초량에서 남쪽으로 용두산.. 2021. 11. 15.
[부산] 1호선 부산역 역명 유래 지하철 정거장은 부산철도역의 승객을 연계 수송하기 위하여 철도역 서편에 설치하고 정거장이름을 부산역이라고 제정하였으며부산철도역은 부산시 중앙에 위치하여 우리나라 제 1의 항구도시의 관문으로서 1905.1.1 초량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여, 1965.11.1 부산진역으로 통합되기도 했으나 1969.6.10 현 역사를 준공하여 다시 영업을 개시하였다. 부산의 지명에 대하여『세종실록지리지』에는 "동래부산포(東萊富山浦)"라 하였고, 신숙주의『해동제국기』에도 "동래지부산포(東萊之富山浦)"라 하였으며, 또 같은 책『삼포왜관도(三浦倭館圖)』에도 "동래현부산포(東萊縣富山浦)"라고 기록해 놓고 있다. 이때의 부산포는 '부자부(富)'자를 사용하고 있다. 1481년(성종 12)에 편찬되고 그후 여러번 증보된『동국여지.. 2021. 11. 15.